카테고리 없음

천년 고도, 서라벌의 비밀 — 통일신라 경주의 도시 인프라와 위생 시스템

메이트레인 2025. 7. 30. 09:30

천년 고도, 서라벌의 비밀 — 통일신라 경주의 도시 인프라와 위생 시스템

 

1. 화려함 너머의 질서: 통일신라 수도 ‘서라벌’

통일신라의 수도 ‘서라벌’, 지금의 경주는 천 년의 역사를 품은 고도이자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정비된 도시 중 하나였다. 불국사와 석굴암 같은 찬란한 문화유산으로 유명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우 체계적인 도시 계획과 인프라가 존재했다. 신라 왕경은 단순히 정치·종교 중심지가 아닌, 치수(治水)와 위생, 상하수도, 교통로, 행정 기능이 정교하게 얽혀 있는 고대 도시였다.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이 복잡한 도시를 유지하고, 수많은 인구가 함께 살아갈 수 있었을까?

통일신라 경주의 도시 인프라와 위생 시스템

2. 강과 도랑을 품은 도시: 경주의 배수 체계

서라벌의 입지는 지리적으로 매우 전략적이었다. 북쪽의 태백산맥과 남쪽의 낙동강 사이에 위치해 하천과 평지가 어우러졌고, 이는 도시 계획에 큰 이점을 제공했다. 특히 도시 중앙을 가로지르는 남천(南川)은 경주의 자연 하수도 역할을 했다. 남천은 단순히 물길이 아니라, 도시 곳곳의 생활하수가 흘러드는 자연 배수 통로로 기능했다.

또한, 최근의 발굴 결과에 따르면 도시의 골목마다 ‘배수구’나 ‘수로’ 흔적이 다수 발견되며, 이를 통해 당시 도시인들이 장마철에도 침수 피해 없이 생활할 수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하수 및 배수 시스템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참고되었을 정도로 진보적이었다.

 

3. 사찰과 수도원 중심의 ‘공공시설’

불교 국가였던 신라에서 사찰은 단순한 종교 공간을 넘어 ‘복지’의 중심지였다. 특히 대형 사찰들은 물 저장 탱크와 정수 기능이 있는 연못을 갖췄고, 식수 공급뿐 아니라 공중목욕 시설로도 기능했다. 대표적으로 안압지(현 동궁과 월지)는 왕궁의 휴식처임과 동시에 정제된 물이 공급되는 공간이었다.

또한, 사찰 인근에는 ‘불탑 수도원’과 유사한 종교 공동체 시설이 있어, 병든 자를 돌보거나 배고픈 자에게 음식을 나누는 구조도 존재했다. 이는 근대 이전의 ‘공공 위생’ 및 ‘사회 복지’의 시초라 할 만하다.

 

4. 신라인의 깨끗한 삶: 위생관념과 실천

신라인들은 불교 사상의 영향으로 ‘몸과 마음의 청결’을 중시했다. 실제 유적지에서는 수세식 화장실 구조와 배수구, 심지어 비누처럼 사용된 재(灰, 재를 물에 탄 알칼리성 물질)의 흔적이 발굴되었다. ‘세수재계(洗手齋戒)’ 문화는 일상화되어 있었고, 불교 행사 전 몸을 깨끗이 씻고 단정히 하는 것이 중요시되었다.

또한, 거리 곳곳에는 흙길이지만 일정 간격마다 배수로가 설치되어 있었고, 시장이나 관청 주변에는 정기적인 청소와 쓰레기 수거 체계가 암묵적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위생 의식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보여준다.

 

5. 고대 도시계획의 정수: 방(坊)과 도로망

경주는 정방형의 도시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동서남북으로 뻗은 대로와 그 사이를 나눈 ‘방(坊)’ 체계를 갖고 있었다. 이는 중국 장안성과 유사한 형태로, 행정·군사적 목적뿐 아니라 교통 및 치안 유지에도 탁월한 구조였다.

도로 폭도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도로 양옆으로는 통행인을 위한 배수구, 하천 가의 보도 구조물까지 발견되었다. 이러한 계획성은 단지 ‘보이는 아름다움’이 아닌, 실제적인 도시 운영 효율성을 위한 선택이었다.

 

6. 천 년 전 ‘스마트시티’를 상상하다

오늘날 우리는 스마트시티를 논의하지만, 천 년 전 서라벌 또한 그 시대의 기술과 종교, 행정이 융합된 ‘지속가능한 도시’였다. 배수로와 정수 시스템, 위생 의식과 공공시설, 구역별 행정단위까지 갖춘 모습은 현대 도시계획에 있어 참고할 만한 모델이다.

 

마무리하며

통일신라의 수도 서라벌은 단순한 고대 도시가 아니라, 고도로 계획된 삶의 터전이었다. 문화유산 뒤에 숨겨진 이 치밀한 인프라와 위생 시스템은 고대인들의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보여주는 증거다. 우리가 ‘천년 고도 경주’를 바라볼 때, 더 이상 돌탑과 절터만이 아닌, 그들이 살았던 생활의 구조까지 함께 들여다보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