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제강점기 ‘기생학교’의 두 얼굴: 예술 교육과 식민지 현실 사이
메이트레인
2025. 8. 9. 11:39
일제강점기 ‘기생학교’의 두 얼굴: 예술 교육과 식민지 현실 사이
— 조선 여성의 사회 진출과 예술적 자립을 둘러싼 빛과 그림자
1. ‘기생학교’라는 이름의 오해
오늘날 ‘기생학교’라는 명칭은 흔히 유흥업을 위한 양성소처럼 오해받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당시의 기생학교는 공식적으로는 전문 예술인 양성 기관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전통 음악·무용·시조 창작뿐만 아니라, 근대적 악기 연주와 외국어 교육까지 진행됐습니다.
전문 예술인 양성 기관이라고는 하나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고상한 교육기관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졸업 후 상당수가 유흥과 공연이 결합된 직업의 세계로 나아갔고, 이는 기생학교가 예술교육과 상업적 유흥 사이에서 줄타기하던 이중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예술 교육기관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 자체가 매우 한정적인 탓이 컸습니다.
2. 제도권 교육으로 편입된 ‘예인(藝人) 훈련소’
1910년대 이후, 일본은 조선의 전통문화와 오락산업을 통제하고자 기생 교육을 제도권에 편입시켰습니다. 각 도·시 단위로 ‘권번(券番)’이라는 기생조합이 설치되었고, 그 산하에 기생학교가 운영되었습니다.
- 교과목: 가야금, 거문고, 해금, 판소리, 시조, 궁중무용
- 근대 과목: 피아노, 바이올린, 일본어, 작문, 예절 교육
- 실습: 공연 실습, 대규모 연회 참여
이러한 교육은 당시 여성에게 드물었던 공식 직업교육적의 성격을 띠었으며, 일부 졸업생은 순수 예술인이나 공연 예술가로 성장하기도 했으나 다수의 졸업생들은 기방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3. 여성 예술인의 사회 진출 경로
기생학교를 졸업한 여성들은 다양한 경로로 사회에 진출하였습니다.
- 전통 예술인: 국악 공연, 궁중무용 전승자로 진출
- 근대 공연 예술가: 신파극, 악극단, 영화 출연
- 사교 및 외교성 행사 참여자: 식민지 정부의 문화행사, 외국 사절 환영 공연특히 일부는 일본·중국 등 해외 무대에도 서며, 당대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습니다.
4. 식민지 통치와 문화 통제의 그림자
기생학교의 발전은 식민지 통치 전략과 밀접히 연결돼 있었습니다. 일본은 전통문화의 일부를 보존·활용하는 척하면서, 이를 식민지 체제에 순응하도록 변형시켰습니다.
- 공연 레퍼토리에 일본의 전통예술과 서양의 음악을 포함시킴
- ‘근대적 세련됨’을 강조하며 일본식 예절 교육 병행함
- 문화행사를 통한 식민지 조선의 ‘화려한 모습’을 대외로 선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