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보의 길 잃은 여정: 외규장각 도서, 약탈과 환수의 역사

국보의 길 잃은 여정

- 외규장각 도서, 약탈과 환수의 역사

외규장각 도서, 약탈과 환수의 역사

왕실 지혜의 보고, 외규장각이란 무엇인가

외규장각(外奎章閣)은 조선 후기 왕실 문서와 도서를 보관하기 위해 1782년(정조 6년) 강화도 정족산성 안에 설치된 기관이었다. 이는 정조가 자신의 개혁 정치를 뒷받침하기 위한 기록 보존의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규 규장각(서울 창덕궁 내)의 외부 분관 개념이었다. 외규장각에는 어람용 의궤(왕이 직접 열람하는 도서), 국왕의 행차 및 국가 제례의 기록, 왕실 족보, 국방 문서 등이 정리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은 세밀한 도해와 채색이 곁들여진 귀중한 자료들이었다.

의궤는 특히 조선의 정교한 기록 문화와 예법, 미술, 행정 체계까지 집약된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다시 말해 외규장각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조선 왕실의 지식, 권위, 정체성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

 

 

1866년 병인양요와 강화도 외규장각의 약탈

1866년(고종 3년), 조선은 프랑스와의 충돌에 휘말리게 된다. 천주교 박해(병인박해)로 프랑스 신부 9명이 처형되자, 프랑스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의 지휘 아래 조선을 침략했다. 이른바 ‘병인양요’다.

프랑스군은 강화도를 점령하고 외규장각을 발견했다. 이들은 외규장각에서 약 297책에 달하는 의궤와 고문서, 회화, 도자기 등 문화재를 약탈하여 프랑스로 가져갔다. 당시 프랑스 병사들은 외규장각의 귀중한 책들을 마치 전리품처럼 취급했고, 일부는 훼손되거나 버려지기도 했다.

약탈의 직접적 이유는 군사적 보복이었지만, 프랑스 내에서는 ‘동양의 지식을 수집한다’는 명분이 더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제국주의 시대의 전형적인 문화 수탈이며, 피해국의 정체성과 문화적 자존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이었다.

 

 

파리로 간 국보들: 국외에서의 수난과 방치

프랑스로 옮겨진 외규장각 도서 대부분은 파리 외곽 퐁텐블로(Fontenay-aux-Roses)의 국립문서보관소와 국립도서관 등에 보관되었다. 그러나 이들 자료는 제대로 정리되지도, 연구되지도 못한 채 수십 년간 방치되었다.

일부 프랑스 학자들이 이들 의궤의 미술적 가치와 역사성을 언급하기는 했지만, 프랑스 대중이나 정부 차원에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외규장각 도서는 ‘문화재의 존재조차 잊혀진 국외 망명자’ 같은 존재로 수십 년을 보내야 했다.

그 존재가 국제적으로 알려진 것은 1975년, 프랑스 도서관에 들른 한국 학자 박병선 박사에 의해 다시 조명되면서부터다. 그녀는 해당 의궤가 병인양요 때 약탈된 조선 왕실 기록이라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후 환수 운동의 불씨를 지피게 된다.

 

 

오랜 싸움: 반환을 둘러싼 외교와 협상

1990년대 들어 한국 정부와 학계는 본격적으로 외규장각 도서 환수를 추진하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예상보다 복잡했다. 프랑스는 해당 유물들이 이미 ‘국립소장품’이 되었기에 자국법상 반환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프랑스는 문화재의 ‘영구 소유권 포기’를 국가의 문화유산법상 허용하지 않는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이에 한국은 반환이 아닌 ‘장기 대여’라는 우회적 방식으로 접근했다. 그리고 2011년, 이명박 정부 시절에 이르러 마침내 양국 간 협상이 타결되어 외규장각 도서 297책 중 1차분 75책이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후 3차에 걸쳐 나머지 도서들도 모두 순차적으로 반환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소유권은 프랑스에 있으나, 대여 형식으로 한국이 보관한다’는 점에서 반환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성과에 그쳤다는 평가도 있다.

 

 

환수 그 이후: 외규장각 도서가 던지는 질문

현재 외규장각 도서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 중이며, 일부는 전시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문화재는 단순한 유물 그 이상이다. 그것은 한 나라의 역사, 정체성, 기억을 품고 있는 집합체이자 국민의 자존을 상징한다.

외규장각 도서의 여정은 단지 약탈과 반환의 기록이 아니라,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폭력, 문화적 주권의 상실과 회복이라는 보다 큰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 사건은 국제사회에서 약탈 문화재의 반환 문제가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일깨워준다.

더불어, 우리는 이제 환수된 문화재를 단순히 ‘돌려받은 유산’이 아니라, 새롭게 연구하고 보존하며 세계에 알릴 ‘살아 있는 기록’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그럴 때, 외규장각 도서가 겪은 오랜 유배의 시간은 비로소 의미 있는 귀환이 될 것이다.